이더리움 dApp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지식 - 구조 3
블럭체인은 p2p로 연결된 하나의 거대한 네트웍이다.
그래서 제일 처음 해야할 것은 바로 이 네트웍에 참여하는 것이다.
네트웍에는 크게 Public과 Private 네트웍이 이다.
Public 네트웍에 바로 Main 네트웍이 있고, 이 메인 네트웍에 직접 개발하는 것이 속도, 가스 비용 등 개발 여건으로는 맞지 않기 때문에 제공하는 Test 네트웍이 다음과 같다.
하지만 Test 네트웍도 속도가 개발 속도만큼 반응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네트웍에 참여하지 않고 로컬에서 단독으로 실행하는 툴도 있다.
Test 네트웍
Type |
Name |
Algorithm |
Support |
Chaindata |
Mining |
Command |
Public |
Ropsten |
PoW |
geth,parity |
8.5G |
Yes |
geth --testnet --cache 1024 |
Kovan |
PoA |
parity |
2.5G |
No |
parity --chain kovan |
|
Rinkeby |
PoA |
geth |
2.3G |
No |
geth --rinkeby --cache 1024 |
|
Private |
No |
geth --datadir {path} init {genesis.json} testrpc |
* Chaindata size는 2018/01 기준이다.
* 위 데이터는 스택익스체인지 이 문서를 참조하여 작성하였다. 각각의 장.단점에 대해서는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.
dApp을 개발이 알파 단계라고 한다면 testrpc 등 private 을 사용하는 것이 낫고, 베타 단계 개발로 넘어갔다면 Public Test 망 중 특히 메인 네트웍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Ropsten으로 개발하는 것이 어떨까 한다.